HOME > 해운대구 > 정책&이슈
부산시(0) | 중구(1) | 서구(1) | 동구(1) |
영도구(1) | 부산진구(3) | 동래구(1) | 남구(3) |
북구(1) | 해운대구(3) | 사하구(3) | 금정구(1) |
강서구(2) | 연제구(1) | 수영구(1) | 사상구(1) |
기장군(2) |
[해운대구] 센텀2지구 5년 만에 GB 해제 결실…부산형 실리콘밸리로 풍산 보상비 산정근거 제시 등 국토부, 조건부로 심의 통과
부산 해운대구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사업 대상지의 그린벨트가 해제된다. 사업 추진 5년 만이다. 부산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하반기에 산단 조성에 착수할 계획이다. 2027년 단지 조성이 마무리되면 센텀2지구는 한국의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부산형 실리콘밸리’로 재탄생한다. 그린벨트 내에 있는 방위산업체인 풍산 공장은 2024년까지 이전한다.
국토해양부는 26일 열린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해운대구 반여·반송·석대동 일원에 추진되는 센텀2지구의 그린벨트 해제 안건이 조건부로 심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해제 면적은 162만1000㎡로 센텀2지구 전체 사업지 191만2000㎡의 84.8%에 달한다. 중도위는 풍산의 보상비 산정 근거, 복합용지 활용 계획, 풍산 이전 과정 주기적 보고 등을 보완할 것을 부산시에 주문했다.
시는 그동안 지지부진하던 부산 테크노밸리 조성 사업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센터, 4차 산업혁명 융합기술센터, 첨단 재난안전산업 기술연구센터 유치 등 각종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미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산업을 선도할 대기업과 글로벌 강소기업, 지역 핵심역량 기업이 적극적으로 센텀2지구에 대한 투자 의향을 밝히고 있다.
시는 센텀2지구를 전 세계 창업기업과 인재가 모이는 부산형 실리콘밸리로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연내 마스터플랜 수립용역을 발주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수립되면 산업단지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이후 유망 스타트업을 유치하기 할 수 있도록 글로벌 수준의 공공·민간 창업 인프라를 구축해 센텀2지구를 남부권 창업 허브로 만들 계획이다. 시는 이 사업으로 8만 4000개의 일자리가 생기고,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27조49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한다.
시와 부산도시공사는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2016년부터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사업 대상지 대부분이 그린벨트로 묶여 사업이 진행되지 못했다. 2017년 3월 중도위 1차 심의에서는 부지 내 포함된 풍산 부산사업장이 군사보안 시설로 임야로 위장돼 환경평가 등급지 조정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심의 유보 결정이 내려졌다. 2018년 2월 열린 2차 심의에서는 부산시가 제출한 환경평가등급 자료의 타당성을 먼저 검토해야 한다며 또 한 차례 결정이 미뤄졌다.